티스토리 뷰
거란, 여진, 몽골의 침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려는 500년 동안 끊임없는 외침으로부터 나라를 지켜냅니다. 어떻게 이겨낼 수 있는지 알아봅시다. 홍경래의 난은 왜 일어났을까요?
1. 거란, 여진, 몽골의 침략
우선 거란은 고려는 신라를 계승한 나라니 서경을 포함한 고구려 땅을 다시 찾겠다는 명목으로 1차 침입을 합니다. 거란에게 땅을 떼어주고 좋게 끝내 자라는 의견들 중에 서희가 대응해보지도 않고 우리 뒤에 오는 사람들이 우리의 지금 모습을 평가할 때 얼마나 부끄럽겠는가라는 말을 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서희가 거란 장수인 소손녕과 대화중에 거란은 고려를 치려 온 것이 아니고 송과 친한 고려의 관계를 끊기 위한 목적임을 눈치를 챕니다. 거란이 송을 공격했을 때 고려가 송을 도와주지 못하게 하려는 것이지요. 거란과 관계를 맺는 조건으로 여진이 관리하는 강동 6주를 넘기라는 서희의 말에 거란은 그렇게 합니다. 하지만 고려는 거란과의 약속을 지키지 않아 강조의 변을 빌미로 거란이 또 침략합니다. 이때도 양규의 활약으로 거란은 물러갑니다. 하지만 또 거란은 약속을 지키지 않자 거란은 대군을 몰고 3차 침입이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우리의 강감찬 장군은 귀주에서 대승을 합니다. 이것이 바로 귀주대첩이죠. 이렇게 거란의 자즌 침입을 부처님의 힘으로 막아 보자 하는 마음으로 초조대장경을 만고 광군이라는 특수부대를 만듭니다. 그리고 강동 6주를 확보하고 천리장성을 쌓게 됩니다. 천리장성은 거란뿐만 아니라 여진도 방어하기 위한 것입니다. 거란의 침입을 잘 막아낸 고려는 이제 여진으로부터 공격을 받게 됩니다. 여진을 대비하여 윤관은 기병, 보경, 항마군으로 나뉜 별무반을 조직하고 활발한 활동으로 여진의 동북 9성을 확보하지만 관리가 힘들고 여진족의 청으로 다시 돌려주게 됩니다. 이후 여진족이 세력이 커져서 금나라가 되고 고려에게 사대를 요구에 이자겸, 김부식은 이 요구를 받아드리죠. 하지만 금사대를 반대하는 세력에서는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이 일으키지만 김부식에 의해 진압됩니다. 왜 이렇게 큰 나라가 작은 나라를 괴롭힐까요? 이번엔 몽골입니다. 이때는 고려가 무신정권의 시대입니다. 최우는 기마경이 우세한 몽골을 대적하기 위해 강화도로 천도합니다. 그러면서 방어 대비가 안 되어 있던 육지에 남아있는 백성들은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맙니다. 그리고 초조대장경과 황룡사 9층 목탑을 불태워버립니다. 하지만 우리 민족들은 당하고만 있지 않고 목숨을 다해 맞섭니다. 대표적으로 김윤후가 처인성과 충주에서도 노비들과 함께 그리고 다인철소에서도 승리를 거둡니다. 이러면서 최우는 강화도에서 개경으로 천도합니다. 그런 와중에 배중손이 이끄는 삼별초는 강화도, 진도를 거쳐 제주도에서 끝까지 몽골과 대적합니다. 몽골에 의해 불타버린 초조대장경 대신 이번엔 그 유명한 팔만대장경을 만듭니다. 고려를 지킨 것은 지배층인 관료들이 아니라 목숨까지 바치면서 끝까지 싸운 힘없는 백성들 덕분에 고려를 지킬 수 있었습니다.
2. 홍건적의 난, 왜의 침략
홍건적의 난은 원나라의 지배아래 가혹한 차별을 받던 한족이 저항한 운동이지만 실패로 돌아가고 원의 수세에 몰린 홍건적은 고려 침략하고 공민왕은 안동까지 피신합니다. 하지만 고려는 홍건적을 물리칩니다. 14세기 원나라에서 명나라로 세력이 바뀌고 명나라는 고려를 침략하는데 그 과정에서 고려에서는 새로운 세력들이 등장하게 됩니다. 최영장군의 황금을 보기를 돌같이 보라라고 말했으며 검소하고 원칙주의자였습니다. 홍산에서 왜구를 물리치고 승리한 최영장군, 화통도감을 이끌고 진포에서 왜구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 최무선, 진포에서 달아난 왜구를 지리산까지 쫓아가 물리친 이성계는 황산전투에서 승리를 거둡니다. 이렇게 왜구를 물리친 과정에서 등장한 인물들이 새롭게 등장하는 신흥무인세력입니다. 이젠 명나라입니다. 공민왕 때 수복했던 쌍성총관부를 돌려달라는 명, 철원에 철령위를 설치한다는 말에 최영장군은 받아드리지 않고 요동 정벌을 단행합니다. 최영은 이성계에서 요동정벌을 명하지만 4불가론의 이유로 이성계는 회군합니다. 4불가론은 첫째. 작은 나라가 큰 나라의 뜻을 거스를 수 없다. 둘째, 농사가 바쁜 여름철에는 군사를 동원할 수 없다. 셋째, 명과 싸우는 사이 분명 왜구가 쳐들어 올 것이다. 넷째, 장마철이라 덥고 습해서 활의 아교가 풀어지고 전염병이 유행할 것이다. 이것이 그 유명한 위화도 회군입니다. 최영의 명을 따르지 않은 이성계는 쿠데타가 되고 최영은 이성계의 손에 죽게 됩니다. 이성계는 위화도 회군과 과전법을 시행함으로서 권문세족들의 권력을 약화시키고 권력을 장악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렇게 권력을 장악한 이성계는 마침내 1392년 조선을 건국합니다.
거란, 여진, 몽골의 거듭되는 침략은 백성들과 의병들의 큰 활약으로 고려를 지킬 수 있었습니다. 이성계는 명령을 불복종 했지만 그의 위화도 회군은 옳은 판단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