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 천하 갑신정변은 1884년 조선에서 일어난 중요한 정치, 군사적 봉기입니다. 조선후기 개혁파와 온건파의 투쟁에서 중추적 사건이었습니다. 갑신정변은 급진 진보적 개혁파들이 한국에 정치적 변화와 근대화를 빠르게 가져오려는 시도였습니다. 또한 조선 역사의 전환점이 될 수 있었던 동학 농민 운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3일 천하 갑신정변19세기 후반 조선은 한반도는 외세의 내적 갈등과 외압에 시달렸습니다. 수세기 동안 조선을 통치해온 조선 왕조는 시대에 뒤떨어진 통치, 부패, 외세의 간섭과 위협 등에 직면하고 있었습니다. 급진 개화파는 정부와 군부 내에서 발생합니다. 그들은 조선의 군사와 행정을 강화하기 위해 근대화와 서구식 개혁을 받아들일 것을 주장합니다. 당시 급진 개화파의 주요 인물들은 김옥균..

강화도 역사 여행을 시작합니다. 한숨 돌리는 기분으로 이번엔 역사 탐방 가볼 만한 곳을 알려드립니다. 선사시대부터 개항기를 거치면서 많은 일들을 겪어온 이곳.. 외의 침략을 잘 막아주었던 곳 바로 강화도입니다. 1. 강화 고인돌 유적지청동기 대표적인 무덤 고인돌은 고대 거석의 무덤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고창, 화순, 강화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강화 고인돌 중에 부근리와 고천리의 고인들은 다른 곳과 달리 지대가 높고 초기 형태가 많습니다. 이곳은 2000년에 선사시대 매장 관행과 한국의 문화유산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성을 인정받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습니다. 강화 고인돌 유적은 한강 하구 여러 곳에 흩어져 있습니다. 강화 고인돌은 탁자식 고인돌이고 일부고인돌에서는 열쇠 구멍 모양의 고인돌로 알려진 중앙..

최초의 근대 조약이자 불평등 조약인 강화도 조약의 과정을 살펴보고 조선의 통상 수교가 어떻게 일어나며 그로 인해 벌어지는 구식군인들의 임오군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강화도조약 개항기의 개혁을 추진했던 흥선대원군은 양반들의 대립으로 물러나고 아들 고종이 친정을 시작합니다. 하지만 고종은 비인 명성황후와 흥선대원군의 세력다툼 속에서 국정을 운영해야만 했습니다. 흥성대원군이 물러나고 명성황후의 일가인 민 씨 형제들의 세상이 옵니다. 다시 세도정치가 시작되는 겁니다. 1875년 강화도에서 윤요호 사건이 발생합니다. 윤요호 사건은 일본이 조선을 정복하려는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일으킨 사건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당시 조선에는 박규수를 비롯해 여러 통상 개화파들이 통상을 찬성하면서 일본과 통상수교를 하게 됩니..

개항기를 주도하는 흥선대원군은 조선을 개혁을 시도합니다. 그의 개혁의 목표는 무엇이었을까요? 흥선대원근의 개혁은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1. 흥선대원군의 대내정책 꺼져가는 조선을 다시 일으키려는 흥선대원군, 당시 철종은 후사가 없었으며 흥선대원군은 자신의 둘째 아들을 왕으로 새우기 위해 조대비와 함께 물밑작업을 진행하고 있었습니다. 흥선대원군의 노력으로 아들 명복은 12살 나이에 왕위에 오릅니다. 어린 고종 옆에서 조대비는 수렴청정을 하고 흥선대원군은 결정권을 갖게 됩니다. 그렇게 흥선대원군은 10년 동안 조선을 이끌어갑니다. 19세기 조선은 세도정치로 왕권은 약해졌으며 삼정문란의 폐단을 없애려고 삼정이정청을 만들긴 하지만 성공하지 못합니다. 그리하여 흥선대원군은 약화된 왕권을 강화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