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의 국학은 성리학의 발달로 생긴 새로운 학문입니다. 조선 후기에는 국학과 과학 기술 그리고 여러가지 서문 문화들이 어떻게 생겨나고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조선 후기 국학의 발달 조선의 역사학 와 지리학의 발달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우리의 역사인 고조선부터 고려까지의 역사를 다룬 안정복의 동사강목, 외국 문헌을 인용한 한치윤은 해동역사를 저술합니다. 안정복은 이익의 제자이며 그의 동사강목은 후대까지도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안정복은 객관적으로 역사 연구를 하려 했으며 후대 유득공에게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추사체로 유명한 김정희는 금석과안록을 저술하며 비석에 적혀있는 글을 해석하여 해당되는 시대의 근거들을 적어놓은 책입니다. 이 작업에서 김정희는 북산산비 해독과정에서..

조선 후기 백성의 저항은 왜 일어났을까요? 조선은 부정부패와 탐관오리들로 인해 농민들이 힘든 시기를 보냅니다. 부조리와 신분 차별을 받던 사람들이 어떻게 대항하는지 알아보고 새롭게 등장하는 학문 실학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1. 조선 백성의 저항 홍경래의 난 조선 백성의 저항 홍경래의 난은 평안도 일대에서 일어난 농민항쟁입니다. 평안도는 지리적으로 산간 지대가 많아 농업이 힘들었지만 중국과 가까운 위치에 있으면서 상업이 발달한 지역입니다. 그리고 금과 은의 채굴로 부를 쌓은 새로운 사회계층이 생겨납니다. 이들은 지역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싶었지만 원래부터 양반이었던 원향과의 대립과 지방관들의 수탈 대상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평안도는 유배를 와서 정착하여 가문을 형성한 사람들이 많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

조선 후기 외교와 조직은 변화를 알아보고 더 강해진 후금과 일본과의 관계를 어떻게 풀어나갈지 그리고 임진왜란 이후 방어를 위해 중앙군과 지방군의 조직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조선 후기 외교 후금, 일본여진이 힘이 강해져 조선 후기에는 후금을 세우게 됩니다. 후금의 세력이 강해지고 광해군의 중립외교로 관계를 개선하려 하지만 이일을 계기로 폐위됩니다. 중립외교에서 중대한 책임을 맡았던 강홍림도 기억해야 합니다. 양란이 끝나고 일본에 새로운 정권인 에도 막부가 들어서면서 일본의 화해 요청으로 광해군과 기유약조를 맺고 일본과 외교를 다시 시작합니다. 그러면서 선진 문물을 일본에 전파하기 위해 통신사를 보냅니다. 참고로 개항 이후의 사절단인 수신사는 일본으로 서양 문물이 들어오면 조선으로 전파..

조선 후기 경제 활동이 어떻게 변화는지 알아봅니다. 세금의 변화, 이앙법을 이용해 농사 짓는 모습, 중농억상 정책이었던 조선 전기와는 어떻게 변했을까요? 1. 조선 후기 경제활동의 발달조선 전기 조세는 과전법과 공법을 거쳐 후기 인조 때 1 결당 4~6두로 정해진 영정법으로 바뀝니다. 그 지역의 특산물을 세금으로 내는 공납을 대신 내주는 방납이 생겨납니다. 지역 주민들이 세금을 내기 위해서는 방납 업자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방납업자와 지역 관료들 사이에 부정부패가 생깁니다. 이런 방납의 폐단을 막기 위해 특산물 대신 쌀 또는 옷감 등으로 대신 내는 대동법을 만들게 됩니다. 대동법 시행은 광해군과 함께 이원이의 시작으로 전국으로 확산되도록 김육은 많은 노력을 했습니다. 공납에는 방납업자가 등장하듯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