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초의 근대 조약이자 불평등 조약인 강화도 조약의 과정을 살펴보고 조선의 통상 수교가 어떻게 일어나며 그로 인해 벌어지는 구식군인들의 임오군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강화도조약 개항기의 개혁을 추진했던 흥선대원군은 양반들의 대립으로 물러나고 아들 고종이 친정을 시작합니다. 하지만 고종은 비인 명성황후와 흥선대원군의 세력다툼 속에서 국정을 운영해야만 했습니다. 흥성대원군이 물러나고 명성황후의 일가인 민 씨 형제들의 세상이 옵니다. 다시 세도정치가 시작되는 겁니다. 1875년 강화도에서 윤요호 사건이 발생합니다. 윤요호 사건은 일본이 조선을 정복하려는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일으킨 사건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당시 조선에는 박규수를 비롯해 여러 통상 개화파들이 통상을 찬성하면서 일본과 통상수교를 하게 됩니..

개항기를 주도하는 흥선대원군은 조선을 개혁을 시도합니다. 그의 개혁의 목표는 무엇이었을까요? 흥선대원근의 개혁은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1. 흥선대원군의 대내정책 꺼져가는 조선을 다시 일으키려는 흥선대원군, 당시 철종은 후사가 없었으며 흥선대원군은 자신의 둘째 아들을 왕으로 새우기 위해 조대비와 함께 물밑작업을 진행하고 있었습니다. 흥선대원군의 노력으로 아들 명복은 12살 나이에 왕위에 오릅니다. 어린 고종 옆에서 조대비는 수렴청정을 하고 흥선대원군은 결정권을 갖게 됩니다. 그렇게 흥선대원군은 10년 동안 조선을 이끌어갑니다. 19세기 조선은 세도정치로 왕권은 약해졌으며 삼정문란의 폐단을 없애려고 삼정이정청을 만들긴 하지만 성공하지 못합니다. 그리하여 흥선대원군은 약화된 왕권을 강화시..

조선 후기의 국학은 성리학의 발달로 생긴 새로운 학문입니다. 조선 후기에는 국학과 과학 기술 그리고 여러가지 서문 문화들이 어떻게 생겨나고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조선 후기 국학의 발달 조선의 역사학 와 지리학의 발달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우리의 역사인 고조선부터 고려까지의 역사를 다룬 안정복의 동사강목, 외국 문헌을 인용한 한치윤은 해동역사를 저술합니다. 안정복은 이익의 제자이며 그의 동사강목은 후대까지도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안정복은 객관적으로 역사 연구를 하려 했으며 후대 유득공에게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추사체로 유명한 김정희는 금석과안록을 저술하며 비석에 적혀있는 글을 해석하여 해당되는 시대의 근거들을 적어놓은 책입니다. 이 작업에서 김정희는 북산산비 해독과정에서..

조선 후기 백성의 저항은 왜 일어났을까요? 조선은 부정부패와 탐관오리들로 인해 농민들이 힘든 시기를 보냅니다. 부조리와 신분 차별을 받던 사람들이 어떻게 대항하는지 알아보고 새롭게 등장하는 학문 실학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1. 조선 백성의 저항 홍경래의 난 조선 백성의 저항 홍경래의 난은 평안도 일대에서 일어난 농민항쟁입니다. 평안도는 지리적으로 산간 지대가 많아 농업이 힘들었지만 중국과 가까운 위치에 있으면서 상업이 발달한 지역입니다. 그리고 금과 은의 채굴로 부를 쌓은 새로운 사회계층이 생겨납니다. 이들은 지역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싶었지만 원래부터 양반이었던 원향과의 대립과 지방관들의 수탈 대상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평안도는 유배를 와서 정착하여 가문을 형성한 사람들이 많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