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의 문화를 이끈 유학자들과 그들의 업적을 알아보고 역사서를 통해 당시의 사회현상을 드려다 봅니다. 조선의 지리를 알 수 있는 지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조선의 문화를 이끈 유학 조선의 문화를 이끈 유학, 즉 조선을 유학의 나라라고 합니다. 교육을 위해 조선시대 최고의 고등교육기관인 성균관이 있습니다. 지금의 성균관대학교 맞습니다. 그 오래된 전통이 스며있는 곳, 한번 가보고 싶네요. 성균관은 교육을 위한 명륜당과 공자 같은 성현들을 모셔놓은 대성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성균관은 모두 무상교육을 이뤄졌다고 합니다. 그리고 한양에는 중등교육을 담당한 44부 학당이 있습니다. 지방의 대표적인 교육기관은 향교이며 중등교육을 담당합니다. 선생님들은 중앙교육기관에서 파견됩니다. 성균관, 4부학당, 향..

조선의 경제는 중농악상 정책을 폈으며 그로인해 백성들의 삶이 어땠는지 알아보고 백성들이 어려운 삶을 도와주기 위해 조정에서는 어떠한 정책을 펼쳤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조선의 경제활동 조선은 농업을 중시하고 상업을 억제하는 중농억상 정책을 펼칩니다. 조선의 토지제도는 관리가 국가로부터 받는 수조권과 관계가 깊습니다. 고려말 공양왕 때 시행된 과전법은 전.현직 관리들에게 수조권을 지급하는데 경기도 지방을 한정으로 하고 있습니다. 원칙적으로 과전법은 세습이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죽은 관리의 자식이 경제적으로 힘들지 않게 살아갈 수 있도록 토지를 반납하지 않고 자식에게 토지를 세습하는 휼양전, 죽은 관리의 아내는 남편이 죽으면 경제적 능력이 없기 때문에 재혼을 하게 됩니다. 이것을 막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

왕권강화를 위해 조선의 중앙과 지방 행정 조직이 어떻게 형성되고 나라를 방어를 위해 중앙과 지방의 군사조직의 운영 시스템과 과거제도는 어떻게 이루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조선 중앙 행정조직태종과 세조대에 왕권강화를 위해 6조 직계제를 실시하고 비서 기능을 한 승정원과 왕의 직접사법기관인 의금부가 있었습니다. 반면 왕권강화보다는 재상과 함께 정치를 하려 한 세종대에 의정부 서사제를 실시했습니다. 의정부는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으로 이루어졌으며 정사를 논의하고 왕에게 품계를 올리고 다시 재가는 의정부를 통해 전달됩니다. 이리하여 3 정승의 위세는 하늘을 찌르고 서로에 대한 견제도 상당했습니다. 왕권강화를 견제할 수 있는 언론기능을 담당한 3사는 사간원, 사헌부, 홍문관이 있습니다. 사간원은 정치의 핵..

마침내 조선 건국과 함께 중앙 집권이 완성됩니다. 이 시기에 새롭게 등장하는 지배 세력이 등장합니다. 그들은 어떻게 조선을 건국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훈구파와 사림파의 갈등으로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조선건국조선건국 과정을 잠깐 들여다보면 신진사대부들은 고려 말 권문세족들과 부딪치게 됩니다. 신진사대부는 위화도회군과 과전법을 통해 권문세족들의 세력을 가져옵니다. 여기서 정도전이 이끈 급진 개혁파는 공양왕을 왕위에 오르고 과전법을 실시하면서 새로운 왕조를 만들기를 원했고 정몽주가 이끈 온건 개혁파는 고려의 왕조에서 점진적으로 개혁해 나가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급진 개혁파는 뜻을 실행합니다. 이성계의 아들 이방원과 정도전은 정몽주에게 새로운 나라를 같이 하자고 제안을 하지만 두 왕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