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일제강점기 1910년대 우리 민족의 저항과 3.1 운동이 끼친 영향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고 우리 민족의 독립을 향한 열망과 희생을 되돌아보겠습니다.

 

3.1 운동 대한독립만세 (출처 독립기념관 홈페이지)
3.1 운동 대한독립만세 (출처 독립기념관 홈페이지)

 

1. 1910년대 국외에서의 저항 활동

국외에서는 항일무장투쟁과 정부 수립을 위해 기지를 만들고 준비했습니다. 서간도 지역에서는 신민회 회원들이 경학사라는 후원단체를 만듭니다. 명문가문의 우당 이회영과 6형제는 경술국치 이후 가족과 친척들을 데리고 만주로 갑니다. 그들은 그곳에서 항일 투쟁의 기틀을 마련 하기 위해 후원단체와 신흥무관학교를 설립하게 됩니다.

 

신흥무관학교를 통해 서로군정서라는 조직이 만들어집니다. 북간도의 활약으로는 후원단체로 대종교가 후원하는 중광단이 있습니다. 이곳의 서전서숙 대표적인 학교이고 이어서 명동학교가 세워집니다.

 

헤이그 특사로 알려진 이상설은 서진서숙에서 교육을 위한 활동도 했습니다. 명동학교에서는 글쓰기를 많이 했으며 애국과 독립이라는 단어가 들어가야 했으며 식민지 독립을 위한 인재양성을 육성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던 학교입니다. 잘 알려준 윤동주 시인이 명동학교 출신이라고 합니다.

 

 

북로군정서는 훗날 청산리 전투를 치르고 대한독립군은 훗날 봉오동 전투를 치르게 되는 부대가 이곳에서 만들어집니다. 연해주에서의 대표적인 단체는 권업회가 있습니다. 이곳에서 후원을 하고 독립군들을 도와주던 대표적인 인물 최재형이 있습니다. 연해주에서 최재형 선생은 독립군과 한인들을 많이 도와주고 한국인들에게 많은 존경을 받았다고 합니다. 연해주에서 이상설이 이끄는 광복군 정부가 세워집니다.

 

상하이에서는 신한청년당이라는 조직이 만들어집니다. 미주지역에서는 대한인국민회라는 조직이 활동하고 대표적인 인물은 안창호 선생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최초로 이민을 갔던 하와이에서는 대조선국민군단이라는 부대를 만들어 독립운동을 활동합니다. 1910년데 대한민국의 독립을 위해 해외에서 이렇게 많은 분들의 활약으로 일제를 압박하고 있었습니다.

 

2. 1910년대 국내에서의 저항 활동

국내에서는 무단통치로 헌병경찰들의 감시가 심해서 비밀결사대가 활동합니다. 비밀결사 단체로 신민회의 여러 활동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국내 활동 중에 독립의군부가 있으며 임병찬이 이끌었으며 복벽주의를 주장합니다. 고종의 밀지를 받은 임병찬은 옛 왕국 시대로 돌아갈 것을 목표로 저항 운동을 펼칩니다.

 

총독부에 국권반환 요구서를 제출 시도했습니다. 판사 출신의 박상진, 김좌진 등이 이끈 대한광복회가 있습니다. 이 단체는 친일부호들을 처단하고 만주지역에 사관학교 세우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었습니다. 판사였던 박상진 선생은 경술국치 당시 사표를 내고 독립을 위해 앞장서시다 10년 후 일본 판사에 의해 사형선고를 받고 돌아가셨다고 합니다. 이렇게 보장된 자리에 연연하지 않고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는 그런 용기가 나에게도 있을까 하는 물음을 하게 됩니다.

 

3. 일제강점기 우리 민족의 저항 3.1운동

1919년 3.1 운동을 시점으로 우리 민족에는 많은 변화가 일어납니다. 1919년 1월 18일 프랑스 파리에서 1차 세계대전 전휴 처리를 위한 파리강화회의가 열립니다. 이 회의에서 미국 윌슨 대통령이 각 민족의 운명은 그 민족이 스스로 결정하게 하자라는 민족자결주의를 발표합니다.

 

우리나라는 신한청년당의 여운형은 김규식을 파리 강화회의에 파견되고 이러한 움직임들에 힘을 실어 주기 위해 도쿄에서 일본 유학생들이 2.8 독립선언 합니다. 이 와중에 고종은 갑자기 서거합니다. 고종의 독살설이 퍼지면서 반일 감정을 더 심해졌습니다. 이리하여 국내에서는 고종의 장례식을 계기로 3.1 운동이 일어납니다. 3.1 운동하면 유관순 열사가 자연적으로 떠오르는 대명사가 되었습니다. 3.1 운동은 여러 종교단체가 중심이 되어 민족 대표 33인이 구성되어 이끌게 됩니다. 이들은 탑골공원에서 선언문을 낭독하려 계획했지만 태화관으로 장소를 변경합니다. 그곳에서 일본 경찰에 의해 연행됩니다.

 

 

그 뒤 독립선언은 정재용 학생의 기미독립선언서를 낭독하면서 만세 시위운동이 시작됩니다. 3.1 운동은 전국으로 확산되고 해외에 있는 동포들도 함께 참여했습니다. 비폭력 시위로 한민족 최대 규모의 독립운동입니다. 하지만 비폭력 시위는 일제의 탄압으로 폭력적 시위로 바뀔 수밖에 없었습니다.

 

3.1 운동의 영향으로 1919년 4월 11일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출범하게 됩니다. 3.1 운동은 무단통치에서 문화통치로 바꾸는 계기가 됩니다. 세계 언론에서도 3.1 운동을 기사로 다뤘으며 비폭력 시위를 폭력으로 진압한 일본을 비판하게 됩니다. 그리고 3.1 운동은 중국의 5.4 운동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독립기념관 홈페이지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참고해 주세요.

 

이렇게 일제강점기에 맞서 우리 민족이 국내외적으로 저항하는 모습들을 알아보았습니다. 신분을 불문하고 나라의 독립을 위해 전 재산과 목숨까지 바쳐 지켜낸 대한민국을 우리 후손들이 잘 이끌어 가야겠습니다.

 

 

 

일제강점기 1920년대 저항 <실력양성운동과 쟁의>

일제강점기 1920년대 저항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을까요? 3.1 운동으로 일제가 무단통치에서 문화통치로 바꾸게 됩니다. 표면적으로는 완화된 느낌이지만 자세히 드려다 보면 우리민족의 혼을 말

leohappy.com

 

 

 

일제강점기 1930년대 저항 <김구, 윤동주 ... >

일제 강점기의 마지막 1930년대의 저항을 알아보겠습니다. 이 시대의 사람들은 무엇을 위해 이렇게 일제에 저항을 했던 것일까요? 바로 후손들을 위해서 자신들의 젊음과 미래를 받쳤을 것을 기

leohapp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