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의 문화를 이끈 유학자들과 그들의 업적을 알아보고 역사서를 통해 당시의 사회현상을 드려다 봅니다. 조선의 지리를 알 수 있는 지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조선의 문화를 이끈 유학 조선의 문화를 이끈 유학, 즉 조선을 유학의 나라라고 합니다. 교육을 위해 조선시대 최고의 고등교육기관인 성균관이 있습니다. 지금의 성균관대학교 맞습니다. 그 오래된 전통이 스며있는 곳, 한번 가보고 싶네요. 성균관은 교육을 위한 명륜당과 공자 같은 성현들을 모셔놓은 대성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성균관은 모두 무상교육을 이뤄졌다고 합니다. 그리고 한양에는 중등교육을 담당한 44부 학당이 있습니다. 지방의 대표적인 교육기관은 향교이며 중등교육을 담당합니다. 선생님들은 중앙교육기관에서 파견됩니다. 성균관, 4부학당, 향..

조선의 경제는 중농악상 정책을 폈으며 그로인해 백성들의 삶이 어땠는지 알아보고 백성들이 어려운 삶을 도와주기 위해 조정에서는 어떠한 정책을 펼쳤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조선의 경제활동 조선은 농업을 중시하고 상업을 억제하는 중농억상 정책을 펼칩니다. 조선의 토지제도는 관리가 국가로부터 받는 수조권과 관계가 깊습니다. 고려말 공양왕 때 시행된 과전법은 전.현직 관리들에게 수조권을 지급하는데 경기도 지방을 한정으로 하고 있습니다. 원칙적으로 과전법은 세습이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죽은 관리의 자식이 경제적으로 힘들지 않게 살아갈 수 있도록 토지를 반납하지 않고 자식에게 토지를 세습하는 휼양전, 죽은 관리의 아내는 남편이 죽으면 경제적 능력이 없기 때문에 재혼을 하게 됩니다. 이것을 막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

왕권강화를 위해 조선의 중앙과 지방 행정 조직이 어떻게 형성되고 나라를 방어를 위해 중앙과 지방의 군사조직의 운영 시스템과 과거제도는 어떻게 이루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조선 중앙 행정조직태종과 세조대에 왕권강화를 위해 6조 직계제를 실시하고 비서 기능을 한 승정원과 왕의 직접사법기관인 의금부가 있었습니다. 반면 왕권강화보다는 재상과 함께 정치를 하려 한 세종대에 의정부 서사제를 실시했습니다. 의정부는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으로 이루어졌으며 정사를 논의하고 왕에게 품계를 올리고 다시 재가는 의정부를 통해 전달됩니다. 이리하여 3 정승의 위세는 하늘을 찌르고 서로에 대한 견제도 상당했습니다. 왕권강화를 견제할 수 있는 언론기능을 담당한 3사는 사간원, 사헌부, 홍문관이 있습니다. 사간원은 정치의 핵..

마침내 조선 건국과 함께 중앙 집권이 완성됩니다. 이 시기에 새롭게 등장하는 지배 세력이 등장합니다. 그들은 어떻게 조선을 건국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훈구파와 사림파의 갈등으로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조선건국조선건국 과정을 잠깐 들여다보면 신진사대부들은 고려 말 권문세족들과 부딪치게 됩니다. 신진사대부는 위화도회군과 과전법을 통해 권문세족들의 세력을 가져옵니다. 여기서 정도전이 이끈 급진 개혁파는 공양왕을 왕위에 오르고 과전법을 실시하면서 새로운 왕조를 만들기를 원했고 정몽주가 이끈 온건 개혁파는 고려의 왕조에서 점진적으로 개혁해 나가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급진 개혁파는 뜻을 실행합니다. 이성계의 아들 이방원과 정도전은 정몽주에게 새로운 나라를 같이 하자고 제안을 하지만 두 왕을 ..

고려의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졌을까요. 지금 우리들이 교육과 많이 다를까요? 불교, 역사, 인쇄 문화를 통해 고려인들의 모습을 알아보겠습니다. 1. 고려의 교육 문화고려의 문화 교육 부분을 알아보겠습니다. 유학 사상이 깃 드려 있습니다. 호족이 세력을 잡고 교육을 위해 광종 때 중앙에는 국자감과 지방에는 향교를 만듭니다. 과거시험으로는 명경과, 저술과, 잡과 그리고 승과가 시행되었으며 항상 전쟁이 많았던 관계로 무과는 없었다고 합니다. 이렇게 과거제가 시행되면서 지위를 높일 수 있는 희망을 갖게 되고 사학 12도라는 사립학교가 생기게 됩니다. 지금의 쪽집게 과외처럼 이루어졌다고 하는데 예나 지금이나 우리나라의 교육열은 변함이 없는 거 같습니다. 사학 12도가 너무 성행되다보니 나라에서 관학 진흥책이라고 ..

고려는 수만은 외침을 어떻게 방어하고 물리쳤는지 고려의 외교 활동을 알아보고 고려에 대한 원나라의 간섭은 어떻게 대응 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고려의 외교 활동고려는 500년 동안 끊임없는 외침으로부터 나라를 지켜냈습니다. 지금부터 어떻게 싸워서 이겨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거란은 고려는 신라를 계승한 나라니 서경을 포함한 고구려 땅을 다시 찾겠다는 명목으로 1차 침입을 합니다. 거란에게 땅을 떼어주고 좋게 끝내 자라는 의견들 중에 서희가 대응해보지도 않고 우리 뒤에 오는 사람들이 우리의 지금 모습을 평가할 때 얼마나 부끄럽겠는가라는 말을 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서희가 거란 장수인 소손녕과 대화중에 거란은 고려를 치려 온 것이 아니고 송과 친한 고려의 관계를 끊기 위한 목적임을 눈치를 챕니다. ..

거란, 여진, 몽골의 침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려는 500년 동안 끊임없는 외침으로부터 나라를 지켜냅니다. 어떻게 이겨낼 수 있는지 알아봅시다. 홍경래의 난은 왜 일어났을까요? 1. 거란, 여진, 몽골의 침략우선 거란은 고려는 신라를 계승한 나라니 서경을 포함한 고구려 땅을 다시 찾겠다는 명목으로 1차 침입을 합니다. 거란에게 땅을 떼어주고 좋게 끝내 자라는 의견들 중에 서희가 대응해보지도 않고 우리 뒤에 오는 사람들이 우리의 지금 모습을 평가할 때 얼마나 부끄럽겠는가라는 말을 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서희가 거란 장수인 소손녕과 대화중에 거란은 고려를 치려 온 것이 아니고 송과 친한 고려의 관계를 끊기 위한 목적임을 눈치를 챕니다. 거란이 송을 공격했을 때 고려가 송을 도와주지 못하게 하려는 것이..

고려 후기 문신들의 부정부패로 무신들이 정권을 잡습니다. 그들은 고려를 어떻게 이끌어 갈까요? 문신들과는 다를까요? 그리고 고려의 경제 생활과 사회 생활을 통해 당시 모습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고려 후기 (무신정변) 고려 후기 무신정변의 대표적인 인물은 이의방,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 최충헌, 최우 순으로 이어집니다. 당시 왕은 의종입니다. 무신들의 군사기구로는 이의방부터 이의민까지는 중방을 운영하고 최충헌부터는 교정도감을 설치하여 본인이 최고자리 별감을 맡습니다. 아들 최우는 인사권을 장악할 수 있는 정방을 설치하고, 서방을 설치하여 문신들도 등용하는 모습들을 볼 수 있습니다. 사병기구로는 경대승은 도방을 만들고 최우는 삼별초의 배경이 될 수 있는 야별초를 만듭니다. 결국 무신들이 자신들의 권력..